본문 바로가기

신문스크랩

한경, 1면) 韓·美 통화스와프 600억 달러 체결 한 줄 요약) 한국은행이 미국 중앙은행(Fed)과 6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모르는 용어)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양국 화폐의 교환 비율)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돈을 상대국과 교환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최초 계약 때 정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질문 하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때 처음으로 300억 달러 규모의 원.달러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고 한다. 통화스와프를 발표한 것 만으로도 환율이 70원 떨어졌으며, 원.달러 통화스와프 자금을 인출했을 때에도 환율이 60원 떨어졌다고한다. 실제 달러를 투입하지 않고도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인 것이다. 08년 금융위기 때 처럼 이번에도 통화스와프만으로 달러 가격이 잡힐 수 있을까? 더보기
한경, 부동산) 9억 미만 아파트 공시價 상승률 1.97%…9억 이상은 21% 뛰어 한 줄 요약) 18일 발표한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가격 구간별로 공시가격을 매겼는데, 9억 미만 주택의 공시가격 상승률은 1.97%, 9억 이상 주택의 평균 상승률은 21.15%을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시세 30억이상 고가 주택의 경우 공시가격 상승률은 27.42%를 기록했다. 모르는 용어) 종합부동산세는 일정 금액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들에게 부과되는 조세이다. 토지 공개념과 맞닿아 있다. 줄여서 종부세라고도 하며 보유세의 일종이다. 질문 하나) 등기를 쳐본 적이 없는 입장에서 맥락을 전부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공시지가(공시가격)는 과세나 감정가를 매기는데 사용된다. 작년 12.16 대책 이후 9억/ 15억이라는 상징적인 주택가격 구간이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이번 9억 미만의 주택과 9억 이상 주.. 더보기
한경, 1면) 바닥 어디냐... 코스피 1600마저 무너졌다 한 줄 요약) 코로나 19의 여파로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코스피 1600 / 코스닥 500 선이 붕괴되었다. ==> 20.03.19 종가 기준 - 코스피 1457.64 / 코스닥 428.35 모르는 용어)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이르는 말. 여기서 비교시점은 현재,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이다. 나스닥시장에서 거래되는 5000여 개 종목 중 하루 평균 거래량이 10만 주 이상인 시가총액 상위 100개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를 사고파는 것을 말한다. 선물은 미래의 지수를 예측해 지수가 오를 것으로 보면 지수선물을 사고, 내릴 것으로 예상하면 지수선물을 팔아 수익을 내는 금융상품이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가 운영하는 주식시장의 통칭이다. 여기서 비교시점은 현재, 기준시점은 1996.. 더보기
한경, 경제종합) "파격 금리인하로 기업 자금난 숨통" vs "실물경기 부양엔 한계" 한 줄 요약)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를 하면서 한국은행도 16일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낮추었다. 금리인하의 목적은 시중에 유동성을 불어넣고, 가계.기업에 안정을 주어 실물경제를 부양하기 위함이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가계.기업 심리 위축이 역병에 의한 것이라 실물경제 부양 효과는 크지 않을 것", "금리 인하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뛰고, 외국인 자본유출을 촉진하는 등 금융안정이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를 한다. 모르는 용어) 주식이나 상품 따위의 실물을 매매하거나 거래하는 경제 상황 한 해 동안 기업이 벌어들인 돈(영업이익)이 그 해에 갚아야 할 이자(이자비용)에 비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나눠 구한다. 보통 이자보상배율이 1.5 이상이면 빚을 갚을 능.. 더보기
한경, 1면) '공포 특급' 탄 세계증시 ... 20兆달러 증발 한 줄 요약)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제로(0) 수준으로 떨어뜨리고, 7000억 달러의 돈을 풀겠다고 해도 세계 증시의 폭락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2020년 1월 20일부터 3월 16일까지 날아간 세계 시가총액은 2018년 한국 국내총생산(GDP, 1893조 원)의 13배인 2경 5000조 원(20조 1000억 달러)에 달한다. 모르는 용어) 월요일 증시가 대폭락을 맞이할 경우 흔히 '블랙먼데이(Black Monday)'라고 지칭한다. 역사적으로는 1987년 10월 19일 뉴욕 증시가 개장 초반부터 대량의 팔자 주문이 쏟아지면서 그날 하루 22.6%가 폭락했는데, 당시 월요일이었기 때문에 이를 두고 '블랙먼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주가지수의 상하 변동폭이 10%를 넘는 상태가 1분간 지속될 때 .. 더보기
한경) 中 이어 美·유럽까지 ‘수요절벽’ 덮쳐 … 기업들 “매출 반토막 위기” 한 줄 요약) 중국발 생산 차질에서 시작된 코로나19 여파가 수요 위축에 따른 '판매절벽'으로 이어진다는 전망으로 인해 해외 시장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에 타격이 우려된다. 모르는 용어) 경기예측모형의 하나이다. 즉, 경기의 변화를 예측하는 그래프의 형태를 알파벳에 빗대어 V자형, U자형, L자형, W자형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중 L자형은 장기 불황을 의미한다. 경기가 바닥을 탈출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저점인 상태에서 계속 머물러 있는 것으로 90년대 일본의 장기침체 경제가 L자형의 대표적인 모델이다. 질문 한 개) 코로나 공포로 인해 대중들의 소비(수요)가 위축되고 있다면 백신 개발 등의 이유로 공포가 종식되었을 때, 평년보다 더 많은 소비로 이어질 수 있을까? 더보기